
불의 꽃
김별아 지음사랑이 허락되지 않던 때가 있었다. 사람의 가장 원초적이고 내밀한 감정이 규범에 의해 금지되고 제도에 의해 처벌되던 조선시대, 목숨을 걸고서라도 사랑하고 사랑받아야 했던 어린 시절부터의 오랜 연인의 이야기가 있다. 역사에 가려진 여성들을 발굴하여 그 삶과 사랑을 전해온 김별아 작가의 작품으로, 세종 초 간통 사건으로 참형에 처해진 유씨 여인의 비극적 사랑을 다룬다.
<조선왕조실록>에 "전 관찰사 이귀산의 아내 유(柳)씨가 지신사 조서로와 통간(通奸)하였으니 이를 국문하기를 청합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되는 이 사건은 시대적인 이슈가 된 조선 양반가 간통 사건이다. 후에 성군이라 불리는 젊은 세종은 유교적 사회질서를 공고히 하고 조선 사회에 본보기로 삼기 위해 남자는 귀양 보내고 여자는 참수형에 처한다.
이후 실록에 기록된 치정.간통 사건들 중 중형에 처한 경우에는 이 사건을 기본으로 형벌의 수위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세종조차 강상죄(綱常罪)에 참형이라는 과도한 징계에 대해 13년이 지난 후 후회한다고 말한 바 있듯이, 당시로서도 이례적인 형벌이었다.
작가는 이 사건이야말로 자유롭던 고려의 여성들이 새 나라 조선의 유교적 체제 안에 온전히 귀속되어 불평등한 삶을 살 수밖에 없게 한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판단해, 사람이 아닌 제도를 위한 삶의 결과와 그 안에서 사랑으로 저항한 여성들의 삶을 보여준다.
또한 청화당과 경심, 그리고 서로에게까지 이어지는 부모와 자식의 어긋난 애정과 상처, 형제자매간 동기간의 질투와 시샘, 고부간의 미묘한 감정 등 인간관계 속에서 늘 부딪치고 고민할 수밖에 없는 근원적인 갈등과 고민을 녹여내어, 이 시대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익숙하면서도 낯선 날것의 감정들을 청매죽마의 두 연인과 그 주변 인물들을 통해 이야기한다.
<조선왕조실록>에 "전 관찰사 이귀산의 아내 유(柳)씨가 지신사 조서로와 통간(通奸)하였으니 이를 국문하기를 청합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되는 이 사건은 시대적인 이슈가 된 조선 양반가 간통 사건이다. 후에 성군이라 불리는 젊은 세종은 유교적 사회질서를 공고히 하고 조선 사회에 본보기로 삼기 위해 남자는 귀양 보내고 여자는 참수형에 처한다.
이후 실록에 기록된 치정.간통 사건들 중 중형에 처한 경우에는 이 사건을 기본으로 형벌의 수위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세종조차 강상죄(綱常罪)에 참형이라는 과도한 징계에 대해 13년이 지난 후 후회한다고 말한 바 있듯이, 당시로서도 이례적인 형벌이었다.
작가는 이 사건이야말로 자유롭던 고려의 여성들이 새 나라 조선의 유교적 체제 안에 온전히 귀속되어 불평등한 삶을 살 수밖에 없게 한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판단해, 사람이 아닌 제도를 위한 삶의 결과와 그 안에서 사랑으로 저항한 여성들의 삶을 보여준다.
또한 청화당과 경심, 그리고 서로에게까지 이어지는 부모와 자식의 어긋난 애정과 상처, 형제자매간 동기간의 질투와 시샘, 고부간의 미묘한 감정 등 인간관계 속에서 늘 부딪치고 고민할 수밖에 없는 근원적인 갈등과 고민을 녹여내어, 이 시대에도 여전히 존재하는 익숙하면서도 낯선 날것의 감정들을 청매죽마의 두 연인과 그 주변 인물들을 통해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