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동물
홍은전 지음“살뜰한 마음, 사려 깊은 문장들로 이뤄진 애틋한 산문”(인터넷서점 송진경 엠디)이라는 평을 받았던 전작 《그냥, 사람》의 미덕을 그대로 간직한 채, 탈시설-자립운동, 싸우는 장애인운동활동가, 동물권(및 동물권활동가) 등을 중심에 놓고 편편의 글을 풀어간다. 고통받는 존재들, 슬픔에 잠긴 존재들이 있는 첫 번째 자리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성실히 기록한 ‘두 번째 사람’이자 ‘두 번째 동물’인 홍은전의 글들이다.
오은 선정 2023 올해의 책
홍은전의 글을 읽을 때면, 굳건하다고 믿었던 논리 체계가 와르르 무너진다. <나는 동물>을 읽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그 체계는 편견이라는 벽돌과 고정관념이라는 이음쇠로 만들어진 것이다. 무너진 벽돌 저편에는 이편에서는 결코 알지 못했던(않으려고 했던) 세계가 펼쳐져 있다. 그 세계를 촘촘하고 친절하게 기록한 저자 덕분에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눈이 번쩍 뜨인다. 탈시설, 동물권, 장애인 운동 등 그간 나하고는 상관없다고 벽을 쳐두었던 일들이 눈물로, 아우성으로, 경이로움으로 다가온다. 대체로 무관심했거나 관성에 기대어 옳고 그름을 따졌던 많은 일들이, 실은 무지에서 비롯되었음을 절절히 깨닫는다. 싸움에도 빛이 있다는 사실에 작은 희망을 품으며 책을 덮는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또 다른 눈을 갖게 된 것 같다. 홍은전은 말한다. “다른 근육과 감각을 쓰게 되었다는 것, 그것은 다시 태어났다는 뜻이다.” 나는 다시 태어났다. 나는 동물이다. 그처럼 나도 좋은 동물이 되고 싶다.
- 오은, <없음의 대명사>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