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검색
인간의 역사와 문명 중국 5·4운동과 신문화 운동 커버
인간의 역사와 문명 중국 5·4운동과 신문화 운동
유현수
1919년 5월 4일 베이징의 대학생들이 일으킨 항일 민족운동이자 사회혁명인 5.4운동은 현대 중국의 근간을 형성한 역사적 분수령이었다. 베이징대학생 3천여 명이 톈안먼 광장에 모여 시작한 이 운동은 제국주의 침탈과 봉건적 전통문화에 대한 이중의 저항으로서, 산둥반도 이권을 일본에 넘긴 파리강화회의의 결정에 반대하며 위안스카이 정권의 매국행위를 규탄하는 한편, 전통적 유교문화와 낡은 사회제도의 개혁을 요구하는 광범위한 민중운동으로 발전했다.

신문화운동은 천두슈, 후스, 루쉰 등 진보적 지식인들이 주도한 문화혁명적 성격의 계몽운동으로서, 전통적 유교 질서와 문어체 문장 사용을 비판하고 과학과 민주주의라는 신문명의 수용을 주창했다. 신청년 잡지를 중심으로 한 이들의 활동은 백화문 운동을 통한 언어 혁명, 전족과 조혼 등 봉건적 악습 타파, 자유연애 사상의 전파, 여성해방운동의 전개로 이어져 중국 사회의 근본적 변화를 이끌었다.

이 책은 베이징에서 시작된 학생시위가 전국의 노동자, 상인계급의 항일운동으로 발전하고, 나아가 마르크스주의의 수용과 중국공산당 창당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치밀하게 추적한다. 특히 차이위안페이가 이끈 베이징대학의 학생자치활동, 리다자오의 사회주의 연구회, 상하이 노동자들의 총파업, 민족자본가들의 국산품 애용운동 등 각계각층의 구체적 실천 양상을 풍부한 사료와 함께 제시하여, 5.4운동과 신문화운동이 현대 중국의 정치적, 사회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미친 지대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조명한다.

출간일

전자책 : 2025-01-13

파일 형식

ePub(850 KB)

주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