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미니즘 한 스푼 사내 성평등 규정은 왜 휴지조각이 되는가
한소율1953년 근로기준법 제정 이후 7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한국 기업의 성평등은 여전히 난제로 남아있다. 본서는 대기업 여성임원 비율 2.5%라는 참담한 수치에서 시작해 채용과정의 차별적 질문, 육아휴직 후 경력단절, 기본급 차별, 성희롱 피해자의 퇴사 압박까지 한국 기업문화에 만연한 성차별의 실상을 데이터와 현장 사례를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회식자리에서 술을 강요받고, 커피심부름과 청소 등 잡무를 도맡아 하며, 화장이 짙다는 이유로 인사고과에서 불이익을 받는 여성 직원들의 현실은 기업의 성평등 규정이 얼마나 허술하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골프모임과 흡연실 네트워크로 대표되는 남성중심적 의사결정 구조와 여성 관리자에게만 요구되는 과도한 업무검증은 수직적 성차별을 고착화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기업 내 성평등 교육이 형식적으로 진행되고 차별 신고 후 오히려 피해자가 불이익을 받는 현실 속에서, 본서는 해외 선진사례와 국내 혁신기업의 성공모델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성평등 실현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자들이 겪는 차별과 편견까지 함께 다룸으로써, 성평등이 여성만의 문제가 아닌 조직 전체의 건강성과 직결된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회식자리에서 술을 강요받고, 커피심부름과 청소 등 잡무를 도맡아 하며, 화장이 짙다는 이유로 인사고과에서 불이익을 받는 여성 직원들의 현실은 기업의 성평등 규정이 얼마나 허술하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골프모임과 흡연실 네트워크로 대표되는 남성중심적 의사결정 구조와 여성 관리자에게만 요구되는 과도한 업무검증은 수직적 성차별을 고착화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기업 내 성평등 교육이 형식적으로 진행되고 차별 신고 후 오히려 피해자가 불이익을 받는 현실 속에서, 본서는 해외 선진사례와 국내 혁신기업의 성공모델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성평등 실현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자들이 겪는 차별과 편견까지 함께 다룸으로써, 성평등이 여성만의 문제가 아닌 조직 전체의 건강성과 직결된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