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중용풀어쓴 고전14
최준하 지음《대학》의 근본사상인 수기(修己, 도덕)와 치인(治人, 정치)의 구체적 방법이 바로 8조목이다. 이 8조목은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여덟 가지이다. 이 가운데 격물, 치지, 성의, 정심, 수신의 5조목은 수기, 즉 실천에 관계되는 것이고, 제가, 치국, 평천하의 3조목은 치인, 즉 정치에 관계된다. 기쁨과 성남, 슬픔과 즐거움이 아직 나타나지 않은 상태를 중(中)이라 하고, 그러한 감정들이 나타나서 모두 절도에 맞는 상태를 화(和)라고 한다. 중이라는 것은 천하에 커다란 근본이고, 화라는 것은 천하에 통용되는 도(道)이다. 이러한 중과 화의 경지에 이르게 되면 하늘과 땅이 제자리에 자리를 잡게 되고 만물도 제대로 자라나게 된다.